top of page

사무엘하 19장





[말씀읽기]


1 <요압이 다윗에게 항의하다> 왕이 목놓아 울면서 압살롬의 죽음을 슬퍼하고 있다는 소문이 요압에게 전해졌다.

2 그래서 모든 군인에게도 그 날의 승리가 슬픔으로 변하였다. 왕이 자기의 아들 때문에 몹시 슬퍼한다는 소문이, 그 날 모든 군인에게 퍼졌기 때문이다.

3 그래서 그 날 군인들은, 마치 싸움터에서 도망쳐 나올 때에 부끄러워서 빠져 나가는 것처럼, 슬며시 성 안으로 들어왔다.

4 그런데도 왕은 두 손으로 여전히 얼굴을 가린 채로, 큰소리로 "내 아들 압살롬아, 내 아들아, 내 아들 압살롬아 !" 하고 울부짖었다.

5 마침내 요압이 집으로 왕을 찾아가서 항의하였다. "임금님, 모든 부하가 오늘 임금님의 목숨을 건지고, 임금님의 아들들과 딸들의 목숨도 건지고, 모든 왕비의 목숨과 후궁들의 목숨까지 건져 드렸습니다. 그런데 임금님께서는 오히려 오늘 부하들을 부끄럽게 만드셨습니다.


6 임금님께서는 어찌하여 임금님을 반역한 무리들은 사랑하시고, 임금님께 충성을 바친 부하들은 미워하시는 겁니까 ? 우리 지휘관들이나 부하들은 임금님께는 있으나마나 한 사람들입니까 ? 차라리 오늘, 압살롬이 살고, 우리 모두 죽었더라면, 임금님께서는 더 기뻐하셨을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시다면,

7 이제라도 일어나 밖으로 나가셔서, 임금님의 부하들을 위로의 말로 격려해 주십시오. 제가 주의 이름을 걸고 맹세하지만, 지금 임금님께서 밖으로 나가지 않으시면, 오늘 밤에 한 사람도 임금님 곁에 남아 있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면 임금님께서, 젊은 시절부터 이제까지 당한 그 모든 환난보다도 더 무서운 환난을 당하실 것입니다."

8 그러자 왕이 일어나서 성문으로 나와 앉았다. "임금님께서 성문에 앙b아 계신다 !" 하는 소식이 모든 부하에게 전해지니, 모든 부하가 왕의 앞으로 나아왔다. <다윗의 귀환 준비> 그 사이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모두 도망하여, 저마다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9 이스라엘 백성은 지파마다 서로 의논이 분분하였다. "다윗 왕은 우리를 원수들의 손아귀에서 구해 주었다. 블레셋 사람의 손아귀에서도 우리를 건져 주었다. 그러나 지금은 압살롬을 피해서 이 나라에서 떠나 있다.

10 우리가 기름을 부어서 왕으로 세운 압살롬은 싸움터에서 죽었다. 그러니 이제 우리가 다윗 왕을 다시 왕궁으로 모셔 오는 일을 주저할 필요가 어디에 있는가 ?


11 온 이스라엘이 하는 말이 다윗 왕에게 전달되었다. 다윗 왕은 두 제사장 사독과 아비아달에게 사람을 보내어, 이렇게 말하였다. "유다 장로들에게 나의 말을 전하여 주시오. 그들이 어찌하여 왕을 다시 왕궁으로 모시는 일에 맨 나중이 되려고 하는지,

12 그들은 나의 형제요, 나의 골육지친인데, 어찌하여 왕을 다시 모셔 오는 일에 맨 나중이 되려고 하는지, 물어 보기 바라오.

13 그리고 아마사에게는, 그가 나의 골육지친이면서도, 요압을 대신하여 군대 사령관이 되지 않는다면, 하나님이 나에게 무슨 벌을 내리시더라도, 내가 달게 받겠다고 하더라고 알려 주시오."

14 이렇게 다윗이 모든 유다 사람의 마음을 하나같이 자기쪽으로 기울게 하니, 그들이 왕에게 사람을 보내서 말하였다. "임금님께서는 부하들을 모두 거느리고, 어서 빨리 돌아오시기를 바랍니다."

15 다윗 왕이 돌아오는 길에 요단 강 가에 이르렀는데, 유다 사람들이 왕을 맞이하여 요단 강을 건너게 하려고, 이미 길갈에 와 있었다.


16 바후림에 사는 베냐민 사람으로 게라의 아들인 시므이도 시므이도 급히 와서, 다윗 왕을 맞이하려고, 모든 유다 사람들과 함께 내려왔다.

17 그는 베냐민 사람 천 명을 거느리고, 사울 집안의 종 시바와 함께 왔는데, 시바도 자기의 아들 열다섯 명과 자기의 종 스무 명을 다 데리고 나아왔다. 이들은 요단 강을 건너서, 왕 앞으로 나아왔다.

18 그들은 왕의 가족이 강을 건너는 일을 도와서, 왕의 환심을 사려고, 나룻배로 건너갔다. <다윗과 시므이> 왕이 요단 강을 건너려고 할 때에, 게라의 아들 시므이가 왕 앞에 엎드려서

19 말하였다. "임금님, 이 종의 허물을 마음에 두지 말아 주십시오. 높으신 임금님께서 예루살렘에서 떠나시던 날, 제가 저지른 죄악을, 임금님께서는 기억하시거나 마음에 품지 말아 주십시오.

20 바로 제가 죄를 지은 줄을, 이 종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가 오늘 요셉 지파의 모든 사람 가운데서 맨 먼저 높으신 임금님을 맞으러 내려왔습니다."


21 스루야의 아들 아비새가 그 말을 받아서, 왕에게 말하였다. "주께서 기름 부어 세우신 분을 시므이가 저주하였으니, 그것만으로도 시므이는 죽어야 마땅한 줄 압니다."

22 그러나 다윗이 말하였다. "스루야의 아들들은 들어라. 나의 일에 왜 너희가 나서서, 오늘 나의 대적이 되느냐 ? 내가 오늘에서야, 온 이스라엘의 왕이 된 것 같은데, 이런 날에, 이스라엘에서 사람이 처형을 받아서야 되겠느냐 ?"

23 왕이 시므이에게 맹세하였다. "너는 처형을 당하지 않을 것이다."

24 <다윗과 므비보셋> 그 때에 사울의 손자 므비보셋도 왕을 맞으러 내려왔다. 그는, 왕이 떠나간 날부터 평안하게 다시 돌아오는 날까지, 발도 씻지 않고, 수염도 깍지 않고, 옷도 빨아 입지 않았다.

25 그가 예루살렘에서 와서, 왕을 맞이하니, 왕이 그에게 물었다. "므비보셋은 어찌하여 나와 함께 떠나지 않았느냐 ?"


26 그가 대답하였다. "높으신 임금님, 저는 다리를 절기 때문에, 나귀를 타고 임금님과 함께 떠나려고, 제가 탈 나귀에 안장을 얹으라고 저의 종에게 일렀으나, 종이 그만 저를 속였습니다.

27 그리고는 그가 임금님께 가서, 이 종을 모함까지 하였습니다. 임금님은 하나님의 천사와 같은 분이시니, 임금님께서 좋게 여기시는 대로 처분하시기를 바랍니다.

28 제 아버지의 온 집안은, 임금님에게 죽어도 마땅한 사람들 뿐인데, 임금님께서는 이 종을 임금님의 상에서 먹는 사람들과 함께 먹도록 해주셨으니, 이제 저에게 무슨 염치가 있다고, 임금님께 무엇을 더 요구하겠습니까 ?"

29 그러나 왕은 그에게 말하였다. "네가 어찌하여 그 이야기를 또 꺼내느냐 ? 나는 이렇게 결정하였다. 너는 시바와 밭을 나누어 가져라 !"

30 므비보셋이 왕에게 아뢰었다. "높으신 임금님께서 안전하게 왕궁으로 돌아오시게 되었는데, 이제 그가 그 밭을 다 차지한들 어떻습니까 ?"


31 <다윗과 바르실래> 그 때에, 길르앗 사람 바르실래도 로글림에서 내려와서, 왕이 요단 강을 건너는 일을 도우려고, 요단 강 가에 이르렀다.

32 바르실래는 아주 늙은 사람으로, 나이가 여든 살이나 되었다. 그는 큰 부자였으므로, 왕이 마하나임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 왕에게 음식을 공급하였다.

33 왕이 바르실래에게 말하였다. "노인께서는 나와 함께 건너가시지요. 나와 같이 가시면 제가 잘 대접하겠습니다."

34 그러나 바르실래는 왕에게 아뢰었다. "제가 얼마나 더 오래 산다고, 임금님과 함께 예루살렘으로 올라가겠습니까 ?

35 제 나이가 지금 여든입니다. 제가 이 나이에 좋은 것과 나쁜 것을 어떻게 가릴 줄 알겠습니까 ? 이 종이 무엇을 먹고 무엇을 마신들, 그 맛을 알기나 하겠습니까 ? 노래하는 남녀가 아름다운 노래를 부른들, 제가 이 나이에 잘 알아듣기나 하겠습니까 ? 그러니 이 종이 높으신 임금님께 다시 짐이 되어서야 되겠습니까 ?


36 이 종은 임금님을 모시고 요단 강을 건너려는 것 뿐인데, 어찌하여 임금님께서는 이러한 상을 저에게 베푸시려고 하십니까 ?

37 부디 이 종을 돌아가게 하셔서, 고향 마을에 있는 제 아버지와 어머니의 무덤 곁에서 죽게 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그 대신에 이 종의 아들 김함이 여기에 있으니, 임금님께서 바라시는 대로 그에게 잘 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38 그러자 왕이 약속하였다. "물론, 내가 김함을 데리고 가겠소. 그리고 노인께서 보시기에 만족하도록, 내가 그에게 잘 대하여 주겠고, 또 나에게 특별히 부탁한 것은 무엇이든지, 내가 다 이루어 드리겠소."

39 드디어 온 백성이 요단 강을 건넜고, 왕도 건너갔다. 왕이 바르실래에게 입을 맞추고, 복을 빌어 주니, 바르실래가 자기의 고장으로 돌아갔다.

40 왕이 길갈로 건너갈 때에, 김함도 왕을 따라서 건너갔다. <남북 분쟁의 재연> 온 유다 백성과 이스라엘 백성의 절반이나 왕을 따라서, 요단 강을 건너갔다.


41 그런데 갑자기 온 이스라엘 사람이 왕에게 몰려와서, 이렇게 말하였다. "어찌하여 우리의 형제인 유다 사람들이 우리와 의논도 없이, 임금님을 몰래 빼돌려 임금님과 임금님의 가족과 다윗 왕의 모든 신하를 모시고 건넜습니까 ?"

42 그러자 온 유다 사람이 이스라엘 사람에게 대답하였다. "우리가 임금님과 더 가깝기 때문이다. 너희가 이런 일로 그렇게 화를 낼 이유가 무엇이냐 ? 우리가 임금님께 조금이라도 얻어 먹은 것이 있느냐 ? 임금님이 우리에게 조금이라도 주신 것이 있어서 그러는 줄 아느냐 ?"

43 그러나 이스라엘 사람은 유다 사람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우리는 임금님께 요구할 권리가 너희보다 열 갑절이나 더 있다. 그런데 어찌하여 너희는 우리를 무시하였느냐 ? 높으신 임금님을 우리가 다시 모셔와야 되겠다고 맨 먼저 말한 사람이, 바로 우리가 아니었느냐 ?" 그래도 유다 사람의 말이 이스라엘 사람의 말보다 더 강경하였다.



[말씀묵상]


본문은 압살롬의 반역이 정리되고 다윗이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내용입니다. 전세는 완전히 역전되어 그동안 있었던 일들이나 사람들에 대한 다윗의 대응을 보여 줍니다. 우선 압살롬의 죽음에 대해 다윗이 대성통곡을 하자 그를 물리치기 위해 힘썼던 요압장군부터 많은 군사들이 민망해 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원수를 물리치고 승리의 환호를 받으며 돌아와야 할 상황인데 왕이 원수의 죽음에 대해 안타까워하며 울고 있으니 난감한 상황이 펼쳐진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요압이 다시 등장합니다. 다윗에게 충고와 같은 말을 합니다. 싸웠던 부하들을 부끄럽게 했다는 것입니다. 미워할 자를 사랑하고 사랑할 자를 미워했다는 것입니다. 빨리 백성들을 위로하여 흩어지지 않도록 하라고 합니다. 이런 요압의 말은 당연히 인간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는 다윗을 이용하여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업적을 쌓고 있는 자입니다. 철저하게 이기적인 존재로 나오고 있습니다.


문제는 다윗이 이 요압에 의해 이끌리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이 지금 다윗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자기 주장을 하지 않는 것도 좋지만 사람들에 의해, 세상의 기준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이끌리는 것은 경계해야할 것입니다. 요압의 지적에 의해 성문에 앉아 있는데 백성들이 나아왔습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들은 서로 변론을 하며 다윗왕에 대해 모셔오자는 이야기를 합니다. 이들의 모습 또한 요압과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변론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지금 다윗은 또다시 인간들의 노력과 술수와 생각과 하나됨으로 왕으로 세워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요압이 그 목적을 이루어갔고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세운 압살롬이 죽자 이제는 다윗을 세워야 한다고 하면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요압과 이스라엘은 다윗과 함께 하면서 세상적 기준과 가치로 그 사명과 계획을 감당해 가고 있는 세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세력과 기준에 하나님의 백성들이 움직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충성과 열심으로 하지만 자기 중심, 자기 기준, 자기 만족으로 하는 것입니다. 틀렸다, 잘못했다는 말이 아니라 그로 인해 자기 중심적 생각으로 빠질 수 있는 위험을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결국 다윗은 이들의 등살에 못이겨 실수를 하게 됩니다. 11절부터 보면 다윗이 예루살렘에 남아 있던 두 제사장에게 기별하여 그곳에 있는 유다 백성들을 회유하도록 한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지금 왕을 모시자고 하는데 너희들이 왜 이런 일에 나중이 되느냐, 너희는 내 형제요 내 골육인데 나를 세우는데 왜 지체하느냐고 하며 아마사를 요압 대신 지휘관으로 세워 이끌도록 합니다. 내 골육임을 강조하고 너를 내가 세우지 않으면 하나님의 벌이 있으리라는 선언까지 하면서 말입니다.


이기적이고 인간적인 모습을 드러낸 것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당연히 하나님의 원하심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20장에서 세바라는 사람에 의해 또다시 반역이 일어나게 됩니다. 아마사는 요압에게 죽게 됩니다. 이러한 다윗의 행동이 얼마나 경솔하고 자기 중심적이었는지, 하나님의 뜻에 합하지 않은 것인지를 보여주신 것입니다. 너무도 분명한 모습입니다. 하나님의 일하심은 결코 인간적인 기준으로 세워지지 않도록 하십니다. 우리의 상황 속에서도 늘 하나님의 기준을 생각해야 합니다. 뭔가 삐걱거림이 있다면 나와 내가 속한 무리, 상황 속에서 자기를 내려 놓고 하나님 앞에서 돌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16절 이후에 두 부류가 나옵니다. 시므이와 시바라는 사람이 나오고 24절부터 므비보셋과 바르실래라는 사람이 나옵니다. 앞의 두 사람은 다윗으로부터 죽어야 마땅한 자들입니다. 다윗을 저주한 시므이, 다윗을 속이고 자기 욕심을 챙긴 시바라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죽어 마땅한 자들이지만 다윗이 용서합니다. 그리고 은혜를 베풉니다. 반면에 뒤의 두 사람은 당연히 은혜가 베풀어져야 할 자들이지만 그 은혜를 거절합니다. 인간의 모습으로 얻게 된 것들은 참된 은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들은 인간의 기준으로 우뚝 서있어야 할 자들이지만 스스로 별 볼일 없는 자리를 자처하며 취하고 있습니다.


두 부류의 모습이 대조적입니다. 밑바닥에 있어야 할 자들이 은혜를 입고 은혜를 입어야 할 자들이 밑바닥으로 갑니다. 즉 인간의 기준과 가치로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은혜만이 이들을 주장하고 베풀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고 있는 것입니다. 모두가 다 자기 것, 기준, 가치, 존재가 무너진 자리에 있게 됨을 보여 줍니다. 이것이 확인되지 않을 때 40절 이후에 나오는 분열이 있게 됨을 보여 줍니다. 왕이 돌아옴으로 서로 기뻐하며 하나가 되어야 할 상황에서 공로싸움을 하는 것입니다. 자신들의 모습과 존재가 어떠한지를 깨닫지 못하고 지금 베풀어지고 있는 놀라운 은혜에 감격하지 못하고 이기적인 생각에 빠져 있었던 것입니다. 나의 주장과 권리만 볼 때 놀라운 은혜를 잊게 되며 사명도 잃고 하나님을 볼 수 없게 됨을 보여 줍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놀라운 은혜를 기억하는 삶이길 바랍니다.



조회수 3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