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사사기 16장

작성자 사진: 주언약교회주언약교회


[본문읽기]


1 <삼손이 가사에 가다> 삼손이 가사에 가서, 창녀를 하나 만나 그의 집으로 들어갔다.

2 삼손이 거기에 왔다는 말을 들은 가사 사람들은 그 곳을 에워싸고, 밤새도록 성문에 숨어 그를 기다렸다. 동이 틀 때를 기다렸다가 그를 죽이려고 생각한 그들은 밤새 가만히 있었다.

3 그러나 삼손은 밤늦도록 누워 있다가, 밤중에 일어나, 성 문짝을 양쪽 기둥과 빗장째 뽑았다. 그는 그것을 어깨에 메고, 헤브론 맞은편 산꼭대기에 올라가 거기에다 버렸다.

4 <삼손과 들릴라> 그 뒤에 삼손은 소렉 골짜기에 사는 어떤 여인을 사랑하게 되었는데, 그의 이름은 들릴라였다.

5 블레셋 사람의 통치자들이 그 여자를 찾아와서 말하였다. "너는 그를 꾀어 그의 엄청난 힘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하면 그를 잡아 묶어서 꼼짝 못 하게 할 수 있는지 알아내어라. 그러면 우리가 각각 너에게 은 천백 세겔씩 주겠다."


6 그래서 들릴라가 삼손에게 물었다. "당신의 그 엄청난 힘은 어디서 나오죠 ? 어떻게 하면 당신을 묶어 꼼짝 못 하게 할 수 있는지 말해 주세요."

7 삼손이 그에게 말해 주었다. "마르지 않은 푸른 칡 일곱 매끼로 나를 묶으면, 내가 힘이 빠져서, 여느 사람처럼 되지."

8 그리하여 블레셋 사람의 통치자들이 마르지 않은 푸른 칡 일곱 매끼를 그 여자에게 가져다 주었고, 그 여자는 그것으로 삼손을 묶었다.

9 미리 옆 방에 사람들을 숨겨 놓고 있다가, 그에게 "삼손, 블레셋 사람들이 당신에게 들이닥쳤어요 !" 하고 소리쳤다. 그러나 삼손은 그 밧줄을 불에 탄 삼 오라기를 끊듯이 끊어 버렸다. 그의 힘의 비밀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자,

10 들릴라가 삼손에게 말하였다. "이것 봐요. 당신은 나를 놀렸어요. 거짓말까지 했어요. 무엇으로 당신을 묶어야 꼼짝 못하는지 말해 주시요."


11 삼손이 그에게 말하였다. "한 번도 쓰지 않은 새 밧줄로 나를 꽁꽁 묶으면, 내가 힘이 빠져서, 여느 사람처럼 되지."

12 들릴라는 새 밧줄을 가져다가 그것으로 그를 묶었다. 미리 옆 방에 사람들을 숨겨 놓고 있다가, 그에게 "삼손, 블레셋 사람들이 당신에게 들이닥쳤어요 !" 하고 소리쳤다. 그러나 삼손은 자기 팔을 묶은 새 밧줄을, 실오라기를 끊듯이 끊어 버렸다.

13 그러자 들릴라가 삼손에게 말하였다. "당신은 여전히 나를 놀리고 있어요. 여태까지 당신은 나에게 거짓말만 했어요 ! 무엇으로 당신을 묶어야 꼼짝 못 하는지 말해 주세요." 삼손이 그에게 말하였다. "a) 내 머리칼 일곱 가닥을 베틀 날실에 섞어서 짜면 되지." (a. 70인역에는 내 머리칼 일곱 가닥을 베틀 날실에 섞어 짜서 그것을 베틀 말뚝에 꽉 잡아매면 나는 힘이 빠져서 여느 사람처럼 되지. 그래서 그가 자고있는 동안에 들릴라가 그의 머리칼 일곱 가닥을 베틀 날실에 섞어 짜고 16:14 그것을 베틀 말뚝에 꽉 잡아매었다. 그리고 삼손에게 삼손 .... 하고 소리쳤다. 그러자 삼손이 잠에서 깨어나 베틀 말뚝과 베틀과 머리칼이 섞여 짜여진 천을 함께 끌어 올렸다.)

14 그 여자는 그것을 말뚝에 꽉 잡아 메고, 그에게 "삼손, 블레셋 사람들이 당신에게 들이닥쳤어요 !" 하고 소리쳤다. 그러자 삼손이 잠에서 깨어나 말뚝과 베틀과 천을 뽑아 올렸다.

15 들릴라가 그에게 또 말하였다. "당신은 마음을 내게 털어놓지도 않으면서, 어떻게 나를 사랑한다고 말할 수가 있어요 ? 이렇게 세 번씩이나 당신은 나를 놀렸고, 그 엄청난 힘이 어디서 나오는지 아직 나에게 말해 주지 않았어요."


16 들릴라가 같은 말로 날마다 끈질기게 졸라대니까, 삼손은 마음이 괴로워서 죽을 지경이 되었다.

17 하는 수 없이 삼손은 그에게 속마음을 다 털어 놓으면서 말하였다. "나의 머리는 b) 면도칼을 대어 본 적이 없는데, 이것은 내가 모태에서부터 하나님께 바쳐진 나실 사람이기 때문이오. 내 머리털을 깍으면, 나는 힘을 잃고 약해져서, 여느 사람처럼 될 것이오." (b. 삭도를)

18 들릴라는 삼손이 자기에게 속마음을 다 털어놓은 것을 보고, 사람을 보내어 블레셋 사람의 통치자에게 전하였다. "한 번만 더 올라오십시오. 삼손이 나에게 속마음을 다 털어 놓았습니다." 그러자 블레셋 사람의 통치자들이 약속한 돈을 가지고 그 여자에게 올라왔다.

19 들릴라는 삼손을 자기 무릎에서 잠들게 한 뒤에, 사람을 불러 일곱 가닥으로 땋은 그의 머리털을 깍게 하였다. 그런 다음에, 그를 괴롭혀 보았으나, 그의 엄청난 힘은 이미 그에게서 사라졌다.

20 그 때에 들릴라가 "삼손 ! 블레셋 사람들이 들이닥쳤어요 !" 하고 소리쳤다. 삼손은 잠에서 깨어나 "내가 이번에도 지난 번처럼 뛰쳐 나가서 힘을 떨쳐야지 !" 하고 생각하였으나, 주께서 이미 자기를 떠나신 것을 미처 깨닫지 못하였다.


21 블레셋 사람들은 그를 사로잡아, 그의 두 눈을 뽑고, 가사로 끌고 내려갔다. 그들은 삼손을 놋사슬로 묶어, 감옥에서 연자맷돌을 돌리게 하였다.

22 그러나 깍였던 그의 머리털이 다시 자라기 시작하였다.

23 <삼손이 죽다> 블레셋 사람의 통치자들이 그들의 신 다곤에게 큰 제사를 바치려고, 함께 모여 즐거워하며 떠들었다. "우리의 원수 삼손을 우리의 신이 우리의 손에 넘겨 주셨다 !"

24 백성도 그를 보고 그들의 신을 찬양하며 소리쳤다. "우리 땅을 망쳐 놓은 원수, 우리 백성을 많이 죽인 원수를 우리의 신이 우리 손에 넘겨 주셨다."

25 그들은 마음이 흐뭇하여, 삼손을 그 곳으로 불러다가 자기들 앞에서 재주를 부리게 하라고 외쳤다. 삼손은, 그들이 보는 앞에서 재주를 부리게 되었다. 그들은 삼손을 기둥 사이에 세워 두었다.


26 그러자 삼손은 자기 손을 붙들어 주는 소년에게 "이 신전을 버티고 있는 기둥을 만질 수 있는 곳에 나를 데려다 다오. 기둥에 좀 기대고 싶다." 하고 부탁하였다.

27 그 때에, 그 신전에는 남자와 여자로 가득 차 있었는데 블레셋 사람의 통치자들도 모두 거기에 있었다. 옥상에도 삼천 명쯤 되는 남녀가 삼손이 재주 부리는 것을 구경하려고 모여 있었다.

28 그 때에 삼손이 주께 부르짖으면서 간구하였다. "주 하나님, 나를 기억하여 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하나님, 이번 한 번만 힘을 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나의 두 눈을 뽑은 블레셋 사람들에게 단번에 원수를 갚게 하여 주십시오."

29 그런 다음에, 삼손은 그 신전을 버티고 있는 가운데의 두 기둥을, 하나는 왼손으로, 또 하나는 오른손으로 붙잡았다.

30 그리고 그가 "블레셋 사람들과 함께 죽게 하여 주십시오 !" 하고 외치며, 있는 힘을 다하여 기둥을 밀어내니, 그 신전이 무너져 내려 통치자들과 모든 백성이 돌더미에 깔렸다. 삼손이 죽으면서 죽인 사람이, 그가 살았을 때에 죽인 사람보다도 더 많았다.


31 그의 형제들과 아버지의 집안 온 친족이 내려와서 그의 주검을 가지고 돌아가서, 소라와 에스다올 사이에 있는 그의 아버지 마노아의 무덤에 묻었다. 그는 스무 해 동안 이스라엘의 사사로 있었다.




[본문묵상]


오늘도 삼손의 어이없는 모습이 그려집니다. 블레셋의 한 성읍인 가사에 있는 기생집에 들어간 것입니다. 한 몸이 되었다는 완곡한 표현입니다. 물론 이스라엘의 지금 상황을 말해주고 있는 것입니다. 블레셋의 통치를 받으며 전혀 죄책감이 없이 우상숭배에 빠져 간음하고 있는 영적 상태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들은 구원자로 보내진 사사를 원수에게 넘겨주는 어리석음을 범하는 자들입니다. 우리를 다스리는 자는 블레셋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고 질책하는 모습은 예수를 십자가에 넘기면서 우리의 왕은 가이사라고 외치는 자들의 모습과 다르지 않습니다. 지금 삼손은 이스라엘의 구원자로 예수님을 예표하고 있는 것입니다.


삼손을 죽이려고 몰려든 자들을 앞에서 성문을 빼어 어깨에 메고 헤브론으로 갔다고 합니다. 성문을 얻는 것은 승리를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아브라함이 이삭을 받치다가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약속이 '너의 씨가 대적의 문을 얻으리라'는 것이었습니다(창22:17). 라반이 리브가를 이삭에게 보내며 축복한 것도 너는 천만인의 어머니가 될지어다 네 씨로 그 원수의 성 문을 얻게 할지어다고 선언합니다(창24:60). 모두가 승리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헤브론 역시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곳입니다. 가나안을 정복했을 때 헤브론을 점령함으로 전쟁이 그쳤다고 한 곳입니다(수11:23, 14:15). 헤브론을 얻는 것은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었음을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삼손이 대적의 성문을 들고 헤브론으로 간 것은 블레셋을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역사를 표현하는 것이지만 당연히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취될 구원의 역사를 예표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지금 삼손은 구원자로서 그의 사명을 감당하고 있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이러한 죄인의 삶을 보여주며 그들과 하나가 되어 희생되고 다시 살아나는 모습은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이루실 구원 역사를 삼손의 전생애를 통하여 그려내고 있는 것입니다. 4절 이후부터 나오는 들릴라와의 관계에서 나실인으로서 금기 사항이었던 머리를 잘리고 온갖 수모와 모욕을 당한 후에 블레셋과 함께 몰살되는 모습도 구원자로서의 그림을 나타내 주고 있는 것입니다.


결국 삼손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보여주시고자 하시는 것은 엉망진창인 이스라엘을 여전히 지키시고 인도하시며 구원하시는 손을 내밀고 이끄신다는 사실입니다. 십자가를 통하여 구원을 이루시고 죄인들을 사랑하시는 모습 속에서 오늘도 창기와 다름없는 나를 붙들고 계시는 주님을 기억하는 하루가 되기를 바랍니다.

조회수 6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