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29편
2018년 8월 14일
시편 29편
*말씀읽기
1 너희 권능 있는 자들아 영광과 능력을 여호와께 돌리고 돌릴지어다
2 여호와의 이름에 합당한 영광을 돌리며 거룩한 옷을 입고 여호와께 경배할지어다
3 여호와의 소리가 물 위에 있도다 영광의 하나님이 뇌성을 발하시니 여호와는 많은 물 위에 계시도다
4 여호와의 소리가 힘있음이여 여호와의 소리가 위엄차도다
5 여호와의 소리가 백향목을 꺾으심이여 여호와께서 레바논 백향목을 꺾어 부수시도다
6 그 나무를 송아지같이 뛰게 하심이여 레바논과 시룐으로 들송아지같이 뛰게 하시도다
7 여호와의 소리가 화염을 가르시도다
8 여호와의 소리가 광야를 진동하심이여 여호와께서 가데스 광야를 진동하시도다
9 여호와의 소리가 암사슴으로 낙태케 하시고 삼림을 말갛게 벗기시니 그 전에서 모든 것이 말하기를 영광이라 하도다
10 여호와께서 홍수 때에 좌정하셨음이여 여호와께서 영영토록 왕으로 좌정하시도다
11 여호와께서 자기 백성에게 힘을 주심이여 여호와께서 자기 백성에게 평강의 복을 주시리로다
*말씀묵상
1절을 보면 이 시의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너희 권능 있는 자들아 영광과 능력을 여호와께 돌리고 돌릴지어다.’ 하나님께 예배하고 경배하야 할 자들의 찬양입니다. 마땅히 돌려져야할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그의 일하심, 그의 존재에 대한 영광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권능 있는 자들이란 원어의 의미는 신들의 아들들이라는 말로 천사같은 천상의 거룩한 존재들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인간들보다는 뛰어난 존재라고 할 수 있지만 하나님께 영광과 능력을 돌려야할 존재라는 데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영적인 존재든, 지상의 존재든, 하나님과 가까이 있던 멀리 있던 온 우주의 피조물들은 여호와께 영광을 돌려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2절을 보면 그의 이름에 합당한 영광을 돌리라고 합니다. 그분이 누구신지를 바로 알고 영광을 돌리라는 말입니다. 구원자, 창조자, 주권자, 주님, 만왕의 왕 등 바른 고백과 믿음으로 하라는 말입니다. 거룩한 옷을 입으라는 것은 자신이 드러나지 않는 예배를 드리라는 의미입니다.
권능이 있는 자들에게 거룩한 옷을 입고 하나님을 찬양하라는 것이 너무도 당연한 요구 같지만 실제로는 잘 되지 않는 모습입니다. 가진 것이 많을수록 거룩한 옷을 입지 않습니다. 자기를 가려야 한다는 말인데 가리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자신의 정체성을 보이는 것이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가끔 훈장을 단 옷들을 보게 됩니다. 그것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드러내 주는 것입니다. 세상의 가치들이지만 하나님 앞에서까지 그것으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다면 하나님께 영광은 결코 돌릴 수가 없을 것입니다.
시인은 하나님께 합당한 영광을 돌리기 위해 그의 일하심을 가지고 찬양하기를 바랍니다. 폭풍 속에서 나타나시는 하나님을 그립니다. 그 속에서 여호와의 소리를 듣도록 합니다. 우렛소리로 표현되었지만 그의 능력과 위엄을 드러내는 요소로 소개합니다. 천둥소리는 절대적인 신의 현현으로 본 것입니다. 욥에게 나타나실 때에도 천둥 소리 가운데 나타나셨습니다. 천둥 소리로 나타나신다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시인의 표현을 보면 힘과 위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백향목을 꺾고 산과 땅을 흔들 정도입니다. 재미있는 표현은 9절입니다. 여호와의 소리로 인해 암사슴이 조산을 하고(상수리나무가 꺾이고로 해석이 가능하다) 산의 나무들이 뽑혀질 정도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하나님의 나타나심으로 인해 선포되는 말은 영광이라는 것입니다. 자연의 여러 가지 나타나는 모습들을 통하여 하나님의 영광이라고 선포하고 있는 것입니다.
자연의 현상 속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발견하며 여호와의 이름에 합당한 내용을 고백하는 모습을 시인은 찾은 것입니다. 인간의 기준과 판단으로는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지만 하나님의 일하심의 관점으로 본다면 모든 것이 영광임을 고백해야 함을 깨닫게 됩니다. 10절에서는 홍수 때를 예로 듭니다. 세상이 심판을 당한 사건이지만 그 때 하나님께서 좌정하셨다는 것입니다. 그가 재판장이셨음을, 주권자이셨음을 고백한 것입니다. 영원토록 왕으로 계시는 분이시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고백을 하는 자들에게 힘을 주시며 평강의 복을 주신다고 선언합니다. 이러한 은혜가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