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읽기]
1 <유다 지파의 땅> 유다 자손 지파에게 가문을 따라 제비를 뽑아서 나누어 준 땅은 다음과 같다. 유다 지파가 차지한 땅은 남쪽으로는 에돔의 경계선과 만나는 지역, 곧 남쪽 맨 끝에 있는 신 광야에까지 이른다.
2 남쪽의 가로 경계선은 사해의 남쪽 끝, 곧 남쪽으로 난 하구에서부터,
3 아그랍빔 비탈 남쪽을 지나 신에 이르고, 가데스바네아 남쪽으로 내려가서 헤스론을 지나 앗달로 올라가 갈가로 뻗어가다가,
4 거기에서 이스몬에 이르고, 이집트 국경지대의 강을 따라가다가 지중해에 이르러서 그 경계가 끝난다. 이것이 유다의 남쪽 경계선이다.
5 동쪽 경계선은 요단 강 하구, 사해 북단부터 남단까지이다. 북쪽 경계선은 요단 강이 끝나는 곳, 요단 강의 하구와 사해 바다가 만나는 곳에서 시작하여
6 벳호글라로 뻗고, 벳아라바의 북쪽을 지나, 르우벤의 아들 보한의 돌이 있는 곳에 이른다.
7 그리고 그 경계선은 다시 아골 골짜기에서 드빌을 지나 북쪽으로 올라가, 강의 남쪽에 있는 아둠밈 비탈 맞은쪽의 길갈에 이르고, 거기에서 다시 a) 엔세메스 물을 지나서 엔로겔에 이른다. (a. 태양의 샘)
8 그 경계선은 다시 힌놈의 아들 골짜기로 올라가서, 여부스, 곧 예루살렘의 남쪽 비탈에 이르고, 또 힌놈의 골짜기 앞 서쪽 산꼭대기에 이르는데, 이 곳은 르바임 골짜기의 북쪽 끝이다.
9 그 경계선은 다시 산꼭대기로부터 넵도아 샘물까지 이르러 에브론 산 성읍들에 미치고, 또 바알라, 곧 기럇여아림에 이른다.
10 그 경계선은 다시 바알라에서 서쪽으로 돌아서 세일 산에 이르고, 여아림 산, 곧 그샬론 북쪽 비탈에 미쳐, b) 벳세메스로 내려가서 딤나에 이르고, (b. 태양의 집)
11 그 경계선은 다시 에그론 북쪽 비탈로 나아가 식그론에 이르고, 바알라 산을 지나 얍느엘에 미쳐, 그 끝이 바다에 이른다.
12 서쪽 경계선은 지중해와 그 연안이다. 이것이 유다 지파에 속한 여러 가문이 나누어 받은 땅의 사방 경계선이다.
13 <갈렙이 헤브론과 드빌을 정복하다;삿1:11-15> 주께서 여호수아에게 명하신 대로 여호수아가 여분네의 아들 갈렙에게 유다 자손의 분깃 가운데서, 아르바에 가지고 있던 성읍 헤브론을 주었는데, 아르바라는 사람은 아낙 사람의 조상이다.
14 갈렙은 거기에서 아낙의 세 아들, 곧 아낙이 낳은 세새와 아히만과 달매를 쫓아내었다.
15 거기에서 그들은 드빌 주민을 치러 올라갔다. 드빌은 일찍이 기럇세벨이라고 불리던 곳이다.
16 그 때에 갈렙이, 기럇세벨을 쳐서 점령하는 사람은 그의 딸 악사와 결혼시키겠다고 말하였다.
17 갈렙의 형제 그나스의 아들인 옷니엘이 그 곳을 점령하였으므로 갈렙은 그를 자기의 딸 악사와 결혼시켰다.
18 결혼을 하고 나서, c) 악사는 자기의 남편 옷니엘에게, 아버지에게서 밭을 얻어내라고 재촉하였다. 악사가 나귀에서 내리자, 갈렙이 딸에게 물었다. "뭐 더 필요한 것이 있느냐 ?" (c.히브리어 본문과 70인역 사본 가운데 몇몇은 악사가 그의 남편 옷니엘을 시켜 갈렙에게서 밭을 얻어내라고 재촉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70인역 사본 가운데 더러는 옷니엘이 그의아내 악사를시켜 장인 갈렙에게서밭을 얻어내라고 재촉ㅎ악사가 대답하였다. "저의 부탁을 하나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아버지께서 저에게 이 d) 메마른 땅을 주셨으니, 샘 몇 개만이라도 주시기 바랍니다." 그는 딸에게 윗샘과 아랫샘을 주었다. (d. 히> 네겝 땅, 또는 남방 땅)
19 <유다의 성읍들> 이 땅이, 유다 자손의 지파에 속한 여러 가문이 나누어 받은 유산이다.
20 유다 자손 지파가 차지한 성읍들 가운데서 에돔 경계선 가까이, 가장 남쪽에 있는 성읍들은, 갑스엘과 에델과 야굴과
21 기나와 디모나와 아다다와
22 게데스와 하솔과 잇난과
23 십과 델렘과 브알롯과
24 하솔하닷다와 그리욧헤스론, 곧 하솔과
25 아맘과 세마와 몰라다와
26 하살갓다와 헤스몬과 벳벨렛과
27 하살수알과 브엘세바와 비스요댜와
28 바알라와 이임과 에셈과
29 엘돌랏과 그실과 홀마와
30 시글락과 맛만나와 산산나와
31 르바옷과 실힘과 아인과 림몬, 이렇게 모두 스물아홉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이다.
32 유다 지파가 차지한 산간지방의 성읍들은, 에스다올과 소라와 아스나와
33 시노아와 엔간님고 답부아와 에남과
34 야르뭇과 아둘람과 소고와 아세가와
35 사아라임과 아디다임과 그레다와 그데로다임, 이렇게 열네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이다.
36 스난과 하다사와 믹달갓과
37 딜르안과 미스바와 욕드엘과
38 라기스와 보스갓과 에글론과
39 갑본과 라맘과 기들리스와
40 그데롯과 벳다곤과 나아마와 막게다, 이렇게 열여섯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도 있었다.
41 립나와 에델과 아산과
42 입다와 아스나와 느십과
43 그일라와 악십과 마레사, 이렇게 아홉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도 있었다.
44 에그론과 그 변두리 촌락과 주변 부락들,
45 에그론에서 바다까지, 아스돗에 인접한 모든 성읍과 주변 마을들도 있었다.
46 아스돗과 그 변두리 촌락과 주변 마을들도 있었다. 또 이집트 국경지대의 강과 지중해와 그 해안 일대에 있는 가사와 그 변두리 촌락과 주변 마을들도 있었다.
47 유다 지파가 차지한 산간지방의 성읍들은, 사밀과 얏딜과 소고와,
48 단나와 기럇산나 곧 드빌과,
49 아납과 에스드모와 아님과
50 고센과 홀론과 길로, 이렇게 열한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이다.
51 이 밖에도 아랍과 두마와 에산과
52 야님과 벳답부아와 아베가와
53 훔다와, 기럇아르바 곧 헤브론과 시올, 이렇게 아홉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이 있었다.
54 그리고 마온과 갈멜과 십과 윳다와
55 이스르엘과 욕드암과 사노아와
56 가인과 기브아와 딤나, 이렇게 열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이 있었다.
57 그리고 할훌과 벳술과 그돌과
58 마아랏과 벳아놋과 엘드곤, 이렇게 여섯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도 있었다.
59 기럇바알 곧 기럇여아림과 라빠, 이 두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도 있었다.
60 유다 지파가 차지한 사막지대의 성읍들은, 벳아라바와 밋딘과 스사사와
61 닙산과 소금 성읍과 엔게디, 이렇게 여섯 성읍과 그 주변 마을들이다.
62 그러나 유다 자손이 예루살렘 성에 살던 여부스 사람을 쫓아내지 못하였으므로, 여부스 사람과 유다 자손이 오늘날까지 예루살렘 성에 함께 살고 있다.
[말씀묵상]
유다 자손이 가족대로 제비를 뽑아 얻은 지역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가나안의 남쪽 지역으로 사해 서쪽부분을 차지하는 넓은 지역입니다. 12지파 중에서 가장 넓은 땅을 기업으로 얻게 됩니다. 분배의 원칙이 지파의 수가 많으면 많은 대로 기업을 받는 것입니다. 유다가 가장 넓은 지역을 얻은 것은 수가 가장 많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가장 수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야곱(창49:8-3)과 모세(신33:7)의 유언으로 볼 때 유다는 다른 지파와 달리 지도자적인 위치를 얻게 될 것을 보게 됩니다. 차지한 지역을 보면 이스라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유다 지파가 얻은 지역을 설명하다가 갈렙이 얻은 성읍에 대한 내용 중 특별한 사건 하나를 보여 줍니다. 헤브론을 점령한 갈렙은 기럇 세벨이라는 성읍을 쳐서 점령하는 자에게 딸 악사를 주겠다는 약속을 합니다. 그러자 갈렙의 조카인 옷니엘이 그것을 점령하고 사위가 됩니다. 옷니엘은 사사기에 나오는 사사 중의 하나입니다(삿3:7). 게다가 딸 악사가 아버지에게 청하여 샘물도 얻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사사기 1장에도 나옵니다.
딸 악사의 지혜로움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갈렙 가문에 주어지는 은혜들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앞서 14:14절 대로 하나님 여호와를 온전히 좇은 결과입니다. 갈렙의 이야기를 틈이 나는 대로 헤브론과 연관하여 계속 언급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이를 통하여 하나님의 약속과 은혜가 어떻게 베풀어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출애굽하고 정탐꾼을 보냈을 때 여호수아와 갈렙만이 믿음으로 보았고 그 결과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는 놀랍게도 유다가 차지한 성읍에서도 드러납니다. 20절 이후에 유다 지파의 가족들이 받은 수많은 성읍들이 나오는데 마지막 절을 보면 예루살렘 주민 여부스 족속을 유다 자손이 쫓아내지 못하고 함께 살았다고 보고합니다.
물론 인간적인 한계를 보여주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약속이 결국에는 성취된다는 사실 역시 이 지파를 통하여 보여 줍니다. 다윗시대에 이 성이 결국 점령된다는 사실입니다. 다윗 역시 유다지파입니다. 유다 가문을 통하여 성취되는 하나님의 약속이 갈렙을 이어 다윗까지 계속 되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신자들에게 성취된 하나님의 언약도 아브라함-다윗-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각각에게 성취되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믿음으로 얻은 은혜들이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언약의 성취들입니다. 오늘도 우리의 삶에서 이 은혜를 확인하며 사는 날이 되기를 바랍니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