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읽기]
1 그 후에 모압 자손과 암몬 자손들이 마온 사람들과 함께 와서 여호사밧을 치고자 한지라
2 어떤 사람이 와서 여호사밧에게 전하여 이르되 큰 무리가 바다 저쪽 아람에서 왕을 치러 오는데 이제 하사손다말 곧 엔게디에 있나이다 하니
3 여호사밧이 두려워하여 여호와께로 낯을 향하여 간구하고 온 유다 백성에게 금식하라 공포하매
4 유다 사람이 여호와께 도우심을 구하려 하여 유다 모든 성읍에서 모여와서 여호와께 간구하더라
5 여호사밧이 여호와의 전 새 뜰 앞에서 유다와 예루살렘의 회중 가운데 서서
6 이르되 우리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여 주는 하늘에서 하나님이 아니시니이까 이방 사람들의 모든 나라를 다스리지 아니하시나이까 주의 손에 권세와 능력이 있사오니 능히 주와 맞설 사람이 없나이다
7 우리 하나님이시여 전에 이 땅 주민을 주의 백성 이스라엘 앞에서 쫓아내시고 그 땅을 주께서 사랑하시는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영원히 주지 아니하셨나이까
8 그들이 이 땅에 살면서 주의 이름을 위하여 한 성소를 주를 위해 건축하고 이르기를
9 만일 재앙이나 난리나 견책이나 전염병이나 기근이 우리에게 임하면 주의 이름이 이 성전에 있으니 우리가 이 성전 앞과 주 앞에 서서 이 환난 가운데에서 주께 부르짖은즉 들으시고 구원하시리라 하였나이다
10 옛적에 이스라엘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에 암몬 자손과 모압 자손과 세일 산 사람들을 침노하기를 주께서 용납하지 아니하시므로 이에 돌이켜 그들을 떠나고 멸하지 아니하였거늘
11 이제 그들이 우리에게 갚는 것을 보옵소서 그들이 와서 주께서 우리에게 주신 주의 기업에서 우리를 쫓아내고자 하나이다
12 우리 하나님이여 그들을 징벌하지 아니하시나이까 우리를 치러 오는 이 큰 무리를 우리가 대적할 능력이 없고 어떻게 할 줄도 알지 못하옵고 오직 주만 바라보나이다 하고
13 유다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아내와 자녀와 어린이와 더불어 여호와 앞에 섰더라
14 여호와의 영이 회중 가운데에서 레위 사람 야하시엘에게 임하셨으니 그는 아삽 자손 맛다냐의 현손이요 여이엘의 증손이요 브나야의 손자요 스가랴의 아들이더라
15 야하시엘이 이르되 온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과 여호사밧 왕이여 들을지어다 여호와께서 이같이 너희에게 말씀하시기를 너희는 이 큰 무리로 말미암아 두려워하거나 놀라지 말라 이 전쟁은 너희에게 속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 속한 것이니라
16 내일 너희는 그들에게로 내려가라 그들이 시스 고개로 올라올 때에 너희가 골짜기 어귀 여루엘 들 앞에서 그들을 만나려니와
17 이 전쟁에는 너희가 싸울 것이 없나니 대열을 이루고 서서 너희와 함께 한 여호와가 구원하는 것을 보라 유다와 예루살렘아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고 내일 그들을 맞서 나가라 여호와가 너희와 함께 하리라 하셨느니라 하매
18 여호사밧이 몸을 굽혀 얼굴을 땅에 대니 온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들도 여호와 앞에 엎드려 여호와께 경배하고
19 그핫 자손과 고라 자손에게 속한 레위 사람들은 서서 심히 큰 소리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를 찬송하니라
20 이에 백성들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서 드고아 들로 나가니라 나갈 때에 여호사밧이 서서 이르되 유다와 예루살렘 주민들아 내 말을 들을지어다 너희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를 신뢰하라 그리하면 견고히 서리라 그의 선지자들을 신뢰하라 그리하면 형통하리라 하고
21 백성과 더불어 의논하고 노래하는 자들을 택하여 거룩한 예복을 입히고 군대 앞에서 행진하며 여호와를 찬송하여 이르기를 여호와께 감사하세 그의 인자하심이 영원하도다 하게 하였더니
22 그 노래와 찬송이 시작될 때에 여호와께서 복병을 두어 유다를 치러 온 암몬 자손과 모압과 세일 산 주민들을 치게 하시므로 그들이 패하였으니
23 곧 암몬과 모압 자손이 일어나 세일 산 주민들을 쳐서 진멸하고 세일 주민들을 멸한 후에는 그들이 서로 쳐죽였더라
24 유다 사람이 들 망대에 이르러 그 무리를 본즉 땅에 엎드러진 시체들뿐이요 한 사람도 피한 자가 없는지라
25 여호사밧과 그의 백성이 가서 적군의 물건을 탈취할새 본즉 그 가운데에 재물과 의복과 보물이 많이 있으므로 각기 탈취하는데 그 물건이 너무 많아 능히 가져갈 수 없을 만큼 많으므로 사흘 동안에 거두어들이고
26 넷째 날에 무리가 브라가 골짜기에 모여서 거기서 여호와를 송축한지라 그러므로 오늘날까지 그 곳을 브라가 골짜기라 일컫더라
27 유다와 예루살렘 모든 사람이 다시 여호사밧을 선두로 하여 즐겁게 예루살렘으로 돌아왔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그들이 그 적군을 이김으로써 즐거워하게 하셨음이라
28 그들이 비파와 수금과 나팔을 합주하고 예루살렘에 이르러 여호와의 전에 나아가니라
29 이방 모든 나라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의 적군을 치셨다 함을 듣고 하나님을 두려워하므로
30 여호사밧의 나라가 태평하였으니 이는 그의 하나님이 사방에서 그들에게 평강을 주셨음이더라
31 여호사밧이 유다의 왕이 되어 왕위에 오를 때에 나이가 삼십오 세라 예루살렘에서 이십오 년 동안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아수바라 실히의 딸이더라
32 여호사밧이 그의 아버지 아사의 길로 행하여 돌이켜 떠나지 아니하고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으나
33 산당만은 철거하지 아니하였으므로 백성이 여전히 마음을 정하여 그들의 조상들의 하나님께로 돌아오지 아니하였더라
34 이 외에 여호사밧의 시종 행적은 하나니의 아들 예후의 글에 다 기록되었고 그 글은 이스라엘 열왕기에 올랐더라
35 유다 왕 여호사밧이 나중에 이스라엘 왕 아하시야와 교제하였는데 아하시야는 심히 악을 행하는 자였더라
36 두 왕이 서로 연합하고 배를 만들어 다시스로 보내고자 하여 에시온게벨에서 배를 만들었더니
37 마레사 사람 도다와후의 아들 엘리에셀이 여호사밧을 향하여 예언하여 이르되 왕이 아하시야와 교제하므로 여호와께서 왕이 지은 것들을 파하시리라 하더니 이에 그 배들이 부서져서 다시스로 가지 못하였더라
[말씀묵상]
여호사밧 왕이 경험한 또 하나의 전쟁 기록이 나옵니다. 모압, 암몬, 마온의 연합군들이 쳐들어 온 것입니다. 이 때 여호사밧 왕이 나라에 금식을 선포하며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했다고 합니다. 앞서 북 이스라엘의 왕인 아합과 힘을 합하여 전쟁을 했을 때와는 다른 모습입니다. 선견자 예후의 책망을 듣고 자신의 모습과 하나님의 일하심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을 인도하시고 만들어 가시는 방법입니다. 잘못을 발견하고 고백하게 하시며, 여러 상황들을 통하여 하나님을 찾게 하고 하나님만이 구원자이심을 고백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왜 여호사밧이 두려움을 갖게 되었을까요? 얼마든지 사돈관계인 북이스라엘에게 도움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을 모습을 돌아보며 하나님 앞에 선 자로서 당연히 갖게 되는 모습이 두려움입니다.
이로 인해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는데 그 근거로서 주권자이신 하나님, 가나안을 약속으로 주신 사실, 성전을 건축하며 솔로몬이 기도한 내용을 듭니다. 그리고 광야를 지날 때 에돔과 모압 그리고 세일산 백성들을 공격하지 못하게 하셨기 때문에 이스라엘 자손들이 그 땅을 피해서 간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여호와의 은혜로 멸망을 면하게 된 암몬과 모압과 세일산 사람들이 지금 공격한 것은 배은망덕임을 말하는 것입니다.
단순하게 못된 놈들을 혼내달라는 간구가 아니라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일하심과 약속을 고백하며 기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볼 수 있습니다. 신자들이 기도하며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구할 때 가져야할 중요한 고백의 내용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의 하나님 되심과 그의 백성됨이 신자들의 근본적인 신앙고백입니다. 이것이 근거가 되어 지금의 삶이 지속되고 있는 것입니다. 마땅히 가져야할 신앙의 기초가 흔들리지 않고 있는지 늘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하나님의 영이 레위 사람 야하시엘에게 임하여 하나님께서 도우실 것이고 전쟁에서 승리할 것을 알려 주십니다. 전쟁은 하나님께 속했다고 합니다. 서서 너희와 함께 한 여호와가 구원하는 것을 보라고 하십니다. 이에 근거하여 여호사밧 왕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이끌고 나갑니다. 여호와를 신뢰하라며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신앙고백을 가진 자들의 자연스런 모습입니다.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이 아니라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사는 존재임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30절을 보면 나라가 태평했다고 합니다. 하나님이 주신 평강 때문입니다. 평강은 예수님의 성육신으로 이루어진 이 세상의 복입니다. 모든 신자들이 가지고 있는 복입니다.
아쉬운 점은 32절 이후에 나오는 대로 산당을 제하지 못한 것과 이스라엘의 악한 왕 아하시야와 교제한 일입니다. 두 왕이 연합하여 배를 건조하는데 하나님께서 그것을 파하셨다고 합니다. 이 배를 통하여 금을 더 얻고자 했던 것입니다. 욕심이 한이 없습니다. 하나님의 함께 하심으로 사는 자였지만 여전히 세상의 기준을 넘어서지 못한 것입니다. 무슨 의미입니까? 잘한다 하더라도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로 살아야 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보여 줍니다. 하나님과 동행하고 기도하고 개혁을 하지만 그것이 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만이 그를 하나님의 백성되게 하는 것입니다. 모든 신자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오늘도 이 사실을 잊지 마시고 주님의 은혜를 붙드는 삶이길 바랍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