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잠언 23장



[말씀읽기]


1 네가 높은 사람과 함께 앉아 음식을 먹게 되거든, 너의 앞에 누가 앉았는지를 잘 살펴라.

2 식욕이 마구 동하거든, 목에 칼을 대고서라도 억제하여라.

3 그가 차린 맛난 음식에 욕심을 내지 말아라. 그것은 너를 꾀려는 음식이다.

4 부자가 되려고 애쓰지 말고, 그런 생각을 끊어 버릴 슬기를 가져라.

5 한순간에 없어질 재물을 주목하지 말아라. 재물은 날개를 달고, 독수리처럼 하늘로 날아가 버린다.


6 너는 인색한 사람의 상에서 먹지 말고, 그가 즐기는 맛난 음식을 탐내지 말아라.

7 무릇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의 사람됨도 그러하니, 그가 말로는 "먹고 마셔라"하여도 그 속마음은 너를 떠나 있다.

8 네가 조금 먹은 것조차 토하겠고, 너의 아첨도 헛된 데로 돌아갈 것이다.

9 미련한 사람의 귀에는 아무 말도 하지 말아라. 그가 너의 슬기로운 말을 업신여길 것이기 때문이다.

10 옛날에 세워 놓은 발 경계표를 옮기지 말며, 고아들의 밭을 침범하지 말아라.


11 그들의 구원자는 강한 분이시니, 그분이 그들의 송사를 맡으셔서 너를 벌하실 것이다.

12 훈계를 너의 마음에 간직하고, 지식이 담긴 말씀에 너의 귀를 기울여라.

13 아이 꾸짖는 것을 삼가지 말아라. 매질을 한다고 하여서 죽지는 않는다.

14 그에게 매질을 하는 것이, 오히려 그의 목숨을 스올에서 구하는 일이다.

15 내 아들아, 너의 마음이 지혜로우면 나의 마음도 또한 즐겁다.


16 네가 입을 열어 옳은말을 할 때면, 나의 속이 다 후련하다.

17 죄인들을 보고 마음 속으로 부러워하지 말고, 늘 주님을 경외하여라.

18 그러면, 너의 미래가 밝아지고, 너의 소망도 끊어지지 않는다.

19 내 아들아, 너는 잘 듣고 지혜를 얻어서, 너의 마음을 바르게 이끌어라.

20 너는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이나 고기를 탐하는 사람과는 어울리지 말아라.


21 늘 술에 취해 있으면서 먹기만을 탐하는 사람은, 재산을 탕진하게 되고, 늘 잠에 빠져 있는 사람은 누더기를 걸치게 된다.

22 너를 낳아 준 아버지에게 순종하고 늙은 어머니를 업신여기지 말아라.

23 진리를 사들이되 팔지는 말아라. 지헤와 훈계와 명철도 그렇게 하여라.

24 의인의 아버지는 크게 기뻐할 것이며, 지혜로운 자식을 둔 아버지는 크게 즐거워할 것이다.

25 너의 어버이를 즐겁게 하여라. 특히 너를 낳은 어머니를 기쁘게 하여라.


26 내 아들아 ! 나를 눈여겨 보고, 내가 걸어온 길을 기꺼이 따라라.

27 음란한 여자는 깊은 구렁이요, 외간 여자는 좁은 함정이다.

28 강도처럼 남자를 노리고 있다가, 숫한 남자를 변절자로 만든다.

29 재난을 당할 사람이 누구며, 근심하게 될 사람이 누구냐? 다투게 될 사람이 누구며, 탄식할 사람이 누구냐? 까닭도 모를 상처를 입을 사람이 누구며, 눈이 충혈될 사람이 누구냐?

30 늦게까지 술자리에 남아 있는 사람들, 혼합주만 찾아 다니는 사람들이 아니냐!


31 잔에 따른 포도주가 아무리 붉고 고와도, 마실 때에 순하게 넘어가더라도, 너는 그것을 쳐다보지도 말아라.

32 그것이 마침내 뱀처럼 너를 물고, 독사처럼 너를 쏠 것이며,

33 눈에는 괴이한 것만 보일 것이며, 입에서는 허튼 소리만 나올 것이다.

34 바다 한가운데 누운 것 같고, 돛대 꼭대기에 누운 것 같을 것이다.

35 "사람들이 나를 때렸는데도 아프지 않고, 나를 쳤는데도 아무렇지도 않다. 이 술이 언제 깨지? 술이 깨면, 또 한 잔 해야지" 하고 말할 것이다.


[말씀묵상]


오늘 본문은 인간의 욕심을 따라 유혹하는 것에 대한 잠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 부, 술에 대한 경고, 그리고 자녀 훈계에 대한 잠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3절의 내용은 6-8절의 내용과 흡사합니다. 높은 사람이 초대하여 음식을 제공하는 것은 분명 나쁜 의도가 있다는 것입니다. 초대한 사람이 누구인지를 분별하고 음식에 욕심을 갖지 말라는 것입니다. 욕심에 눈이 멀어 악한 자의 의도를 깨닫지 못하고 올무에 걸리게 될 것임을 경고합니다.


이러한 모습은 인간 모두에게 있는 것입니다. 신자라고 예외가 아닙니다. 문제는 육신적인 욕구에 대해서는 죄라는 생각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본능적인 것이라는 생각에서입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 지나치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오늘 본문도 욕심에 의해 분별하지 못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는 것입니다.


4절의 부자되지 말라는 말도 그런 이유입니다. 사사로운 지혜라고 분명하게 지적합니다. 허무한 것이라고 합니다. 부에 대한 경고는 시대와 상황을 막론하고 늘 있는 것입니다. 성경은 하나님을 섬기는 것을 대항하는 다른 주인으로 말합니다(마6:24). 탐심은 우상숭배라는 말씀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주인이 되어 자신을 이끌고 원하는 목적을 이루는 것입니다.


즉 보이는 것에 이끌려 보이지 않는 영원한 것을 잃어버리는 결과가 됩니다. 9절이 이 모습입니다. 지혜로운 말을 업신여기는 것입니다. 물론 지혜로운 말을 들을 수 있는 자는 없습니다. 아무리 진리를 전해주어도 사람의 이해와 능력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신이 얼마나 진리를 떠나 자기 욕심에 이끌리는 자인지를 깨닫고 하나님을 의지하는 자가 진리를 받아들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참 주인이 누구인지를 깨닫고 그만을 의지하게 됩니다.


11절에 구속자는 스스로 자신을 책임질 수 없는 자들을 구원해 내는 자를 말합니다. 앞의 욕심과 연결하여 이해를 한다면 지계석을 옮기는 자들에 의해 자신의 것을 빼앗긴 자들(고아)은 하나님께서 책임지신다는 말입니다. 즉 자신의 만족과 탐심을 버린 자, 빼앗긴 자, 내려놓은 자는 하나님께서 구속하셔서 주인이 되신다는 말입니다. 이어 나오는 아이를 훈계하는 것이 목적도 하나님의 주인되심을 심어주는 목적임을 보여 줍니다.


또한 후반부에 나오는 술을 즐겨하는 자의 특징 역시 자신의 주인됨을 술에 빼앗긴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자기의 의지와 뜻에 관계없이 행동하며 무감각한 삶을 살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 여호와를 경외한다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주인되심을 인정하며 산다는 말입니다. 어떤 다른 것에 자신을 내어 주지 않으며 맡기지 않는 삶입니다. 나를 주장하는 것은 오직 여호와 하나님이심을 고백하며 사는 것입니다. 이것이 지혜로운 자이며 세상의 것에 삶의 목표를 두지 않는 모습입니다.


신자들인 우리들의 시선이 어디에 있습니까? 나를 즐겁게 하는 것이 무엇입니까? 부입니까? 술(나를 만족시키는 것)에 있습니까? 죄인의 형통을 부러워합니까?(17절) 오직 여호와를 경외함에 우리의 시선이 머물러야 합니다. 오늘도 주님의 주인되심을 기억하시고 걸어가는 삶이길 바랍니다.



조회수 28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