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언 28장
- 주언약교회
- 2023년 7월 6일
- 3분 분량
[말씀읽기]
1 악인은 뒤쫓는 사람이 없어도 달아나지만, 의인은 사자처럼 담대하다.
2 나라에 반역이 일면, 통치자가 자주 바뀌지만, 슬기와 지식이 있는 사람이 다스리면, 그 나라가 오래간다.
3 가난한 사람을 억압하는 가난한 사람은 먹을거리를 남김없이 쓸어 버리는 폭우와 같다.
4 율법을 버린 사람은 악인을 찬양하지만, 율법을 지키는 사람은 악인에게 대항한다.
5 악한 사람은 공의를 깨닫지 못하나, 주를 찾는 사람은 모든 것을 깨닫는다.
6 부유하나 구부러진 길을 가는 사람보다는 가난해도 흠 없이 사는 사람이 낫다.
7 슬기로운 아들은 율법을 지키지만, 먹기를 탐하는 사람들과 어울리는 아들은 아버지에게 욕을 돌린다.
8 높은 이자로 재산을 늘리는 것은, 마침내, 가난한 사람들에게 은혜로 베풀어질 재산을 쌓아 두는 것이다.
9 귀를 돌리고 율법을 듣지 않으면, 그의 기도마저도 역겹게 된다.
10 정직한 사람을 나쁜 길로 유인하는 사람은 자기가 판 함정에 빠지지만, 흠 없이 사는 사람은 복을 받는다.
11 부자가 자기 보기에는 지혜롭지만, 가난하나 슬기로운 사람은 그 사람의 속을 꿰뚫어 본다.
12 의인이 성공하면 많은 사람이 영광을 누리지만, 악인이 일어나면 사람들이 짓밟힌다.
13 자기의 죄를 숨기는 사람은 잘 되지 못하지만, 죄를 자백하고 그것을 끊어 버리는 사람은 불쌍히 여김을 받는다.
14 늘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사는 사람은 복을 받지만, 마음이 완고한 사람은 재앙에 빠진다.
15 가난한 백성을 억누르는 악한 통치자는, 울부짖는 사자요, 굶주린 곰이다.
16 슬기가 모자라는 통치자는 억압만을 일삼지만, 부정한 이득을 미워하는 통치자는 오래도록 살 것이다.
17 사람을 죽인 사람은 함정으로 달려가는 것이니, 아무도 그를 막지 말아야 한다.
18 흠 없이 사는 사람은 구원을 받을 것이지만, 그릇된 길을 따라가는 사람은 언젠가는 한 번 넘어지고야 만다.
19 밭을 가는 사람은 먹을 것이 넉넉하지만, 헛된 것을 꿈꾸는 사람은 찌들게 가난하다.
20 신실한 사람은 많은 복을 받지만, 속히 부자가 되려는 사람은 벌을 면하지 못한다.
21 사람의 얼굴을 보고 재판하는 것은 옳지 않다. 사람은 빵 한 조각 때문에 그런 죄를 지을 수도 있다.
22 죄악에 눈이 어두운 사람은 부자가 되는 데에만 바빠서, 언제 궁핍이 자기에게 들이닥칠지를 알지 못한다.
23 아첨하는 사람보다는 바르게 꾸짖는 사람이, 나중에 고맙다는 말을 듣는다.
24 자기 부모의 것을 빼앗고도 그것이 죄가 아니라고 하는 사람은 살인자와 한패이다.
25 욕심이 많은 사람은 다툼을 일으키지만, 주를 의뢰하는 사람은 풍성함을 누린다.
26 자기의 생각만을 신뢰하는 사람은 미련한 사람이지만, 지혜롭게 사는 사람은 구원을 받는다.
27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는 사람은 모자라는 것이 없지만, 그를 못 본 체하는 사람은 많은 저주를 받는다.
28 악인이 일어나면 사람들은 숨어 버리지만, 그가 망하면 의인이 많이 나타난다.
[말씀묵상]
잠언은 읽을수록 재미있고 유익하다고 할 수 있지만 신자들이 이해하고 마음에 새기어 신앙적 고백을 하는데는 쉽지 않습니다. 유익과 선행의 도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솝우화나 탈무드, 손자병법처럼 될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도 깊은 생각 없이 읽으면 인터넷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좋은 글에 지나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성경적 해석이 아닌 경험적 이해만으로 보게 되면 율법적 행동과 판단의 기준으로 전락해 버리게 됩니다. 예를 들어 2절을 보면 정치적인 관점으로 보게 되고 지난 과거 역사에 경험되어진 일들로 판단하게 됩니다. 당연히 그런 이해도 틀렸다고 할 수는 없지만 성경적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깨끗하고 지혜롭고 지식있는 자를 국회의원으로 세우자는 말씀은 아닙니다.
28장은 전반적으로 국가적 상황에서 일어나는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다스리는 자들과 다스림을 받고 있는 자들의 삶을 보여 줍니다. 국가를 다스리고 통치함에 있어서, 백성들로서 경험하는 상황에 있어서, 그 힘과 부와 법에 대해 훈계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통치자나 지배권에 있는 자들을 지혜있는 자, 율법을 지키는 자, 여호와를 찾는 자, 정직한 자, 죄를 자복하고 버리는 자로 세우시고, 이들을 통하여 국가를 이끌어 가심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물론 이 내용은 피지배 계급이나 약자들에게도 같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이끄시는 내용이 전혀 성공적인 모습이거나 힘을 얻게 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권력을 얻어 지배계급이 된다거나 부를 얻게 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저 담대함(1), 장구함(2), 깨달음(5), 지혜로움(7), 복을 받음(11, 20), 구원받음(18) 등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전혀 세상적이지 않음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모든 신자들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스리는 자든, 다스림을 받는 자든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의 다스림을 받는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의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13절을 보면 죄를 숨기는 자가 나옵니다. 죄인의 본능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만일 하나님의 다스림을 의식한다면 결코 그럴 수 없는 것입니다. 하나님 앞에서는 죄가 만천하에 들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자신이 얼마나 미련하고 죄악된 자인지를 확인하게 됩니다. 반면에 사람을 의식할 때 죄를 숨기게 됩니다. 이후에 나오는 악한 행실이 결국 사람을 의식하고 사는 자들의 모습들입니다. 힘과 능력과 부, 명예를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 것입니다.
의인과 악인의 죄가 드러남에도 이렇게 차이가 있습니다. 의인은 하나님 앞에서 죄인으로 드러나 자복하고 엎드리게 되지만 악인은 죄가 드러남에도 힘과 부로 그것을 덮어버리게 됩니다. 다 못남이 드러나는 것이지만, 드러나는 과정이 자기 포기인지 아니면 자기 만족과 욕심인지 갈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자기 포기를 하는 자에게 하나님의 채우심이 있게 되고, 자기 만족을 채우는 자는 하나님의 심판이 있게 됨을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결국 죄를 자복하고 버리는 자,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 자신을 포기하는 자는 복되고 구원을 받고 풍족하게 될 것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삶에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는 삶이기에 절대적인 하나님의 긍휼함을 받고 인도함이 있게 됩니다.
죄인으로서 자기를 포기하며 하나님의 것으로 만족하는 삶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오늘도 자신의 삶을 확인하며 주앞에 사는 하루 되기를 바랍니다.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