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47장
제목: 나그네의 삶
[말씀읽기]
47:1 요셉이 바로에게 가서 아뢰었다. "저의 아버지와 형제들이 소 떼와 양 떼를 몰고 모든 재산을 챙겨가지고 가나안 땅을 떠나서 지금은 고센 땅에 와 있습니다."
47:2 요셉은 형들 가운데서 다섯 사람을 뽑아서 바로에게 소개하였다.
47:3 바로가 그 형제들에게 물었다. "그대들은 생업이 무엇이오 ?" 그들이 바로에게 대답하였다. "임금님의 종들은 목자들입니다. 우리 조상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47:4 그들은 또 그에게 말하였다. "소인들은 여기에 잠시 머무르려고 왔습니다. 가나안 땅에는 기근이 심하여 소 떼가 풀을 뜯을 풀밭이 없습니다. 그러하오니 소인들이 고센 땅에 머무를 수 있도록 허락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47:5 바로가 요셉에게 대답하였다. "그대의 아버지와 형제들이 그대에게로 왔소.
47:6 이집트 땅이 그대 앞에 있으니 그대의 아버지와 형제들이 이 땅에서 가장 좋은 곳에서 살도록 거주지를 마련하시오. 그들이 고센 땅에서 살도록 주선하시오. 형제 가운데서 특별한 능력이 있는 사람들을 그대가 알면 그들이 나의 짐승을 맡아 돌보도록 하시오."
47:7 요셉은 자기 아버지 야곱을 모시고 와서 바로를 만나게 하였다. 야곱이 바로를 축복하고 나니,
47:8 바로가 야곱에게 말하였다. "노인께서는 연세가 어떻게 되시오 ?"
47:9 야곱이 바로에게 대답하였다. "이 세상을 떠돌아다닌 햇수가 백 년하고도 삼십 년입니다. 저의 조상들이 세상을 떠돌던 햇수에 비하면 제가 누린 햇수는 얼마 되지 않지만 험악한 세월을 보냈습니다."
47:10 야곱이 다시 바로에게 축복하고 그 앞에서 물러났다.
47:11 요셉은 자기 아버지와 형제들을 이집트 땅에서 살게 하고, 바로가 지시한 대로 그 땅에서 가장 좋은 곳, 라암세스 지역을 그들의 소유지로 주었다.
47:12 요셉은 자기 아버지와 형제들과 아버지의 온 집안에 식구 수에 따라서 먹을거리를 대어 주었다.
47:13 <기근이 심해지다> 기근이 더욱 심해지더니, 온 세상에 먹을거리가 떨어지고, 이집트 땅과 가나안 땅에서는 기근 때문에 사람들이 야위어 갔다.
47:14 사람들이 요셉에게 와서 곡식을 사느라고 돈을 치르니, 이집트 땅과 가나안 땅의 모든 돈이 요셉에게로 몰렸고, 요셉은 그 돈을 바로의 궁으로 가지고 갔다.
47:15 이집트 땅과 가나안 땅에서 돈마저 떨어지자, 이집트 사람들이 모두 요셉에게 와서 말하였다. "우리에게 먹을거리를 주십시오. 돈이 떨어져다고 하여 어른께서 보시는 앞에서 죽을 수야 없지 않습니까 ?"
47:16 요셉이 말하였다. "그러면 너희가 기르는 집짐승이라도 가지고 오너라. 돈이 떨어졌다니, 집짐승을 받고서 먹을거리를 팔겠다."
47:17 그래서 백성들은 자기들이 기르는 집짐승을 요셉에게로 끌고 왔다. 요셉은 그들이 끌고 온 말과 양 떼와 소 떼와 나귀를 받고서, 먹을거리를 내주었다. 이렇게 하면서 요셉은 한 해 동안 내내, 집짐승을 다 받고서 먹을거리를 내주었다.
47:18 그 해가 다 가고 이듬해가 되자, 백성들이 요셉에게로 와서 말하였다. "돈은 이미 다 떨어지고, 집짐승마저 다 어른의 것이 되었으므로 이제 어른께 드릴 수 있는 것으로 남은 것이라고는 우리의 몸뚱이와 밭뙈기뿐 입니다. 어른께 무엇을 더 숨기겠습니까 ?
47:19 어른께서 보시는 앞에서 우리가 밭과 함께 망할 수야 없지 않습니까 ? 그러니, 우리의 몸과 우리의 밭을 받고서 먹을거리를 파십시오. 우리가 밭까지 바쳐서, 바로의 종이 되겠습니다. 우리에게 씨앗을 주십시오. 그러면 우리가 죽지 않고 살아날 것이며, 밭도 황폐하게 되지 않을 것입니다."
47:20 요셉은 이집트에 있는 밭을 모두 사서 바로의 것이 되게 하였다. 이집트 사람들은 기근이 너무 심하므로 견딜 수 없어서, 하나같이, 그들이 가지고 있는 밭을 요셉에게 팔았다. 그래서 그 땅은 바로의 것이 되었다.
47:21 요셉은 이집트 이 끝에서 저 끝까지를 여러 성읍으로 나누고, a) 이집트 전 지역에 사는 백성을 옮겨서 살게 하였다. (a. 사마리아 오경과 70인역과 불가타에는 "요셉이 백성을 강제노동에 징용하였다")
47:22 그러나 요셉은 제사장들이 가꾸는 밭은 사들이지 않았다. 제사장들은 바로에게서 정기적으로 녹을 받고 있고, 바로가 그들에게 주는 녹 가운데는 먹을거리가 넉넉하였으므로 그들은 땅을 팔 필요가 없었다.
47:23 요셉이 백성에게 말하였다. "이제 내가 너희의 몸과 너의의 밭을 사서 바로께 바쳤다. 여기에 씨앗이 있다. 너희는 이것을 밭에 뿌려라.
47:24 곡식을 거둘 때에 거둔 것에서 오분의 일을 바로께 바치고, 나머지 오분의 사는 너희가 가져라. 거기에서 밭에 뿌릴 씨앗을 따로 떼어 놓으면 그 남는 것이 너희와 너희 집안과 너희 자식들의 먹을거리가 될 것이다.
47:25 백성들이 말하였다. "어른께서 우리의 목숨을 건져 주셨습니다. 어른께서 우리를 어여삐 보시면, 우리는 기꺼이 바로의 종이 되겠습니다."
47:26 요셉이 이렇게 이집트의 토지법, 곧 밭에서 거둔 것의 오분의 일을 바로에게 바치는 법을 만들었으며, 지금까지도 그 법은 유효하다. 다만, 제사장의 땅만은 바로의 것이 되지 않았다.
47:27 <야곱의 마지막 요청> 이스라엘 자손은 이집트의 고센 땅에 자리를 잡았다. 거기에서 재산을 얻고 생육하며 번성하였다.
47:28 야곱이 이집트 땅에서 열일곱 해를 살았으니, 그의 나이가 백마흔일곱 살이었다.
47:29 이스라엘은 죽을 날을 앞두고, 그의 아들 요셉을 불러 놓고 일렀다. "네가 이 아버지에게 효도를 할 생각이 있으면, 너의 손을 나의 다리 사이에 넣고, 네가 인애와 성심으로 나의 뜻을 받들겠다고 나에게 약속하여라. 나를 이집트에 묻지 말아라.
47:30 내가 눈을 감고 조상들에게로 돌아가면 나를 이집트에서 옮겨서 조상들께서 누우신 그 곳에 나를 묻어다오." 요셉이 대답하였다. "아버지 말씀대로 하겠습니다."
47:31 야곱이 다짐하였다. "그러면 이제 나에게 맹세하여라." 요셉이 아버지에게 맹세하니, 이스라엘이 침상 맡에 엎드려서 하나님께 경배하였다.
[말씀묵상]
오늘 본문은 요셉이 아버지 야곱을 바로에게 소개하는 장면이 나오고 그들에게 바로가 살 곳을 허락하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기근이 심하여지면서 애굽과 주변 나라가 요셉에게 나아와 그들의 재산을 바치고 종이 되어가는 상황을 그립니다. 마지막에 야곱이 요
셉에게 자신의 임종을 맡기며 가나안에 장사하기를 부탁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습니다.
파란만장했던 야곱의 마지막을 서술하는 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그의 삶이 정말 그러했음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어떠한 삶이었든 상관없이 그의 모습은 분명하게 하나님의 약속을 따라 산 결과입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이었고 아브라함으로 시작된 약속은 계속해서 성취되어 왔던 것입니다.
지금도 바로 앞에서 보여주고 있는 모습은 바로 이러한 약속의 성취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의 선처로 고센이라는 땅을 얻는 내용이지만 실은 야곱이 바로를 축복함으로 남의 나라에 와서 주인행세를 하는 모습입니다. 복은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게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히7:7 논란의 여지 없이 낮은 자가 높은 자에게서 축복을 받느니라
지금 야곱은 복을 비는 자로 애굽에 와 있는 것입니다. 비록 몰골은 거지를 방불한 모습이지만 그의 영적 위치는 아브라함에게 하셨던 약속의 자리에 있는 것입니다. 야곱이 얼마나 하나님의 약속을 따라 움직이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세상에서의 신자의 자리이며 위치이고 권리가 바로 이것입니다. 또한 교회가 바르게 세워져야 할 특별한 기준이며 기초가 바로 이것입니다. 세상을 향한 축복의 통로, 축복의 기능, 자리에 있음을 잊지 않는 것입니다. 모든 신자들이 지금 있는 곳에서 성취하여야 할 사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험악한 세월의 삶, 나그네와 같은 인생을 살아가고 있지만 이웃을 축복하며 산다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 부르심, 약속이 근거가 되지 않으면 할 수도 없는 것입니다.
축복을 한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삶을 살고 있음을 증거하는 삶인 것입니다.
이 땅에 가치와 근거를 두지 않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결코 바로 앞에서 이럴 수 없는 것입니다. 야곱은 자신의 장례에 대해서도 그러한 기준이었음을 보여줍니다. 이 땅에 장사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여기가 자신들이 기준을 둔 곳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가나안입니다. 이 말은 돌아갈 본향, 하나님의 약속된 장소가 애굽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나그네 인생임을 보여줍니다.
중간에 요셉을 통하여 애굽이 부유해지고 모든 사람으로 종이 되는 그의 역할을 보여줍니다.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습을 그립니다. 그러한 요셉이 야곱 가문에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요? 당연히 한 탕(?)해 볼 생각이 들지 않겠습니까? 똑똑한 가문의 인재들을 애굽의 요직에 들여서 실세들을 만들만 하지 않은가요? 그런데 이들에게는 이러한 상황과 기회와 자리가 전혀 무관하다는 것을 야곱의 모습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출세와 성공이 기준인 세상에서 무엇을 좇아 사는 자들인가를 분명하게 대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나그네이며 돌아갈 곳이 있는 자들임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