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5장
제목: 출애굽의 방해들
[말씀읽기]
5:1 <모세와 아론이 왕 앞에 서다> 그 뒤에 모세와 아론이 바로에게 가서 말하였다. "주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 나의 백성을 보내라. 그들이 광야에서 나의 절기를 지켜야 한다. 하셨습니다."
5:2 그러나 바로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그 주가 누구인데, 나더러 그의 말을 듣고서 이스라엘을 보내라는 것이냐 ? 나는 주를 알지도 못하니, 이스라엘을 보내지도 않겠다."
5:3 그들이 말하였다. "히브리 사람의 하나님이 우리에게 나타나셨습니다. 우리가 광야로 사흘길을 가서 우리의 하나님께 제사를 드릴 수 있게 허락하여 주십시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주께서 무서운 질병이나 칼로 우리를 치실 것입니다."
5:4 이집트의 왕은 그들에게 이렇게 대답하였다. "모세와 아론은 들어라. 너희는 어찌하여 백성이 일을 하지 못하게 하느냐 ? 어서 물러가서 너희가 할 일이나 하여라."
5:5 바로가 말을 이었다. "그들이 이집트 땅의 백성들보다도 더 불어났다. 그런데도 너희는, 그들이 하는 일을 중단시키려 드는구나."
5:6 바로는 그 날로 이스라엘 백성을 부리는 강제노동 감독관들과 작업반장들에게 명령하였다.
5:7 "너희는 벽돌을 만드는데 쓰는 짚을 더 이상 이전처럼 저 백성에게 대주지 말아라. 그들이 직접 가서 짚을 모아 오게 하여라.
5:8 그러나 벽돌 생산량은 이전과 같게 하여라. 만들어 내는 벽돌의 수가 줄어서는 안된다. 그들이 게을러서, 그들의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러 가게 해 달라고 하면서 떠든다.
5:9 그들에게는 더 힘겨운 일을 시키고, 그 일만 하게 하여서, 허튼 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못하게 하여라."
5:10 이스라엘 백성을 부리는 강제노동 감독관들과 작업반장들이 나가서 그들에게 이렇게 선포하였다. "바로께서 명령하시기를 내가 너희에게 더 이상 짚을 주지 않겠다.
5:11 너희는 가서 너희가 쓸 짚을 직접 구해 와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너희의 벽돌 생산량이 줄어들어서는 안된다. 하셨다."
5:12 그래서 백성들은 온 이집트 땅에 흩어져서, 짚 대신으로 쓸 곡초 그루터기를 모아 들였다.
5:13 "너희는 짚을 공급받을 때만큼 벽돌을 만들어 내야 한다." 감독관들은 이렇게 말하며 그들을 몰아쳤다.
5:14 바로의 강제노동 감독관들은 자기들이 뽑아서 세운 이스라엘 자손의 작업반장들을 때리면서 "너희는 어찌하여 어제도, 오늘도 벽돌 만드는 작업에서 너희가 맡은 일을 전처럼 다 하지 못하느냐 ?"하고 다그쳤다.
5:15 이스라엘 자손의 작업반장들이 바로에게 가서 호소하였다. "어찌하여 저희 종들에게 이렇게 하십니까 ?
5:16 저희 종들은 짚도 공급받지 못한 채로 벽돌을 만들라고 강요받고 있습니다. 보십시오. 저희 종들이 이처럼 매를 맞았습니다. 잘못은 틀림없이 임금님의 백성에게 있습니다."
5:17 그러자 바로가 대답하였다. "이 게을러 터진 놈들아, 너희가 일하기가 싫으니까 주께 제사를 드리러 가게 해 달라고 떠드는 것이 아니냐 !
5:18 썩 물러가서 일이나 하여라 너희에게 짚을 대주지 않겠다. 그러나 너희는 벽돌을 맡은 수량대로 어김없이 만들어 내야 한다."
5:19 이스라엘 자손의 작업반장들은 매일 만들어야 하는 벽돌의 수를 줄일 수 없다는 말을 듣고서 자기들이 곤경에 빠졌음을 알았다.
5:20 그들은 바로 앞에서 나오다가 자기들을 만나려고 서 있는 모세와 아론과 마주쳤다.
5:21 그들은 이렇게 말하였다. "주께서 당신들을 내려다 보시고 벌을 내렸으면 좋겠소. 당신들 때문에 바로와 그의 신하들이 우리를 미워하고 있소. 당신들은 그들의 손에 우리를 죽일 수 있는 칼을 쥐어 준 셈이오"
5:22 <모세가 주께 호소하다> 이 말을 듣고서 모세는 주께 돌아와서 호소하였다. "주님, 어찌하여 주께서는 이 백성에게 이렇게 괴로움을 겪게 하십니까 ? 정말, 왜 저를 왜 이곳에 보내셨습니까 ?
5:23 제가 바로에게 가서 주의 이름으로 말한 뒤로는 그가 이 백성을 더욱 괴롭히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주께서는 주의 백성을 구하실 생각을 전혀 하지 않고 계십니다."
[말씀묵상]
이제 본격적인 출애굽의 시작이 전개됩니다. 모세와 아론이 바로에게 가서 이스라엘을 보낼 것을 말합니다.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내 백성을 보내라 그들이 나를 섬길 것이라는 명령이 있었음을 전달합니다. 물론 말도 안 되는 청원입니다. 비록 종과 같이 일을 하고 있지만 이미 애굽인의 한 사람으로 살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으로부터 나오는 일은 바로의 입장에서 본다면 이유가 합당치 않았던 것입니다. 자신이 이미 애굽의 신으로 존재하고 있고 이들이 섬겨야 하는 여호와가 어떤 신인지도 중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바로의 반응은 너무나도 당연한 것입니다. 불순종의 문제이기에 앞서 하나님을 모르는 죄인들의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을 몰라서 보내주지 못하기에 이제부터 모세를 통하여 하나님이 누구신지를 보여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모세는 재차 사흘길 쯤 가서 제사를 드리도록 허락하지 않으면 하나님께서 병이나 칼로 우리를 치실까 두렵다고 합니다. 우리가 죽을지도 모르니 보내달라고 협박하는 말이 아니라 우리의 주권이 하나님께 있음을 분명히 말하는 것입니다. 애굽도 바로도 이들의 주인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모세는 예배의 본질적인 의미를 계속 말하고 있는 중입니다. 하나님을 섬김, 예배함은 애굽을 떠나야 하며 그 앞에서 하나님 되심을 인정하는 것임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님을 예배함에 바로는 반대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너희는 가서 주어진 일이나 열심히 하라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이들의 일들을 더욱 힘들게 합니다. 짚을 주지 않고 만들던 벽돌의 수효를 같게 만들라고 합니다. 이로 인해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로부터 원망을 듣게 됩니다. 하나님의 보내심을 알고 자신들을 찾으시고 고난을 살피신다며 경배했던 자들이 삶이 힘들어지자 곧바로 원망하는 모습을 보인 것입니다. 모세를 보자 너희들 때문에 우리가 이렇게 되었는데 하나님께서 너희들의 모습을 판단하기를 바란다고 합니다.
하나님을 예배하며 섬기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게 되기까지가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를 깨닫게 됩니다. 외부의 요인보다도 자신의 문제가 훨씬 더 큰 장벽으로 있음을 보여줍니다. 내가 힘들면 다 싫은 것입니다. 인정하지도 않고 무조건 배타적이 되어버립니다. 이 모습은 바로가 보인 것과도 다르지 않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을 보내라는 것이 바로 자신을 무시한 행동이기도 하지만 그럼으로 인해 나라의 수익이 없어지게 됨을 용납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우리의 신앙 역시 이러한 사실에 머물러 있지 않은지 돌아봐야 합니다. 출애굽은 이러한 것들로부터 완전히 벗어남을 의미합니다. 단순한 자유와 평화를 얻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섬겨야 한다는 사실 앞에 자신에게 있는 자존감, 이기주의, 등을 벗어내는 것이어야 합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섬기며 예배함이 좋은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상황에서 벗어남에 목적이 있었던 것입니다. 출애굽으로 인하여 목적하신 하나님의 뜻을 분명하게 깨닫지 못할 때 세상의 상황을 두려워하게 되고 자신의 모습 또한 불분명하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 줍니다. 그러나 잊지 않아야 할 내용은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결국은 출애굽시키시고 그의 백성으로 만드셨다는 사실입니다. 그에게 순종하는 것만이 사는 길임을 믿고 의지하는 삶이 되기를 바랍니다.
留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