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역대상 20장



[말씀읽기]


1 해가 바뀌어 왕들이 출전할 때가 되매 요압이 그 군대를 거느리고 나가서 암몬 자손의 땅을 격파하고 들어가 랍바를 에워싸고 다윗은 예루살렘에 그대로 있더니 요압이 랍바를 쳐서 함락시키매

2 다윗이 그 왕의 머리에서 보석 있는 왕관을 빼앗아 중량을 달아보니 금 한 달란트라 그들의 왕관을 자기 머리에 쓰니라 다윗이 또 그 성에서 노략한 물건을 무수히 내오고

3 그 가운데 백성을 끌어내어 톱과 쇠도끼와 돌써래로 일하게 하니라 다윗이 암몬 자손의 모든 성읍을 이같이 하고 다윗이 모든 백성과 함께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니라

4 이 후에 블레셋 사람들과 게셀에서 전쟁할 때에 후사 사람 십브개가 키가 큰 자의 아들 중에 십배를 쳐죽이매 그들이 항복하였더라

5 다시 블레셋 사람들과 전쟁할 때에 야일의 아들 엘하난이 가드 사람 골리앗의 아우 라흐미를 죽였는데 이 사람의 창자루는 베틀채 같았더라

6 또 가드에서 전쟁할 때에 그 곳에 키 큰 자 하나는 손과 발에 가락이 여섯씩 모두 스물넷이 있는데 그도 키가 큰 자의 소생이라

7 그가 이스라엘을 능욕하므로 다윗의 형 시므아의 아들 요나단이 그를 죽이니라

8 가드의 키 큰 자의 소생이라도 다윗의 손과 그 신하의 손에 다 죽었더라



[말씀묵상]


주변 나라들을 정복한 기록이 계속됩니다. 요압이 군대를 이끌고 암몬의 랍바를 공격하고 함락시킵니다. 삼하12장을 보면 요압이 정복했지만 다윗을 오게 하여 다윗의 공적으로 삼도록 합니다. 그래서 왕의 머리(밀곰, 암몬의 신)에 있던 왕관을 다윗이 씁니다. 이 나라에 대한 주권을 선포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성의 백성들을 끌어내어 고역을 시켰다고 합니다. 이 내용은 잔인하게 살해한 것으로 해석이 되기도 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암몬 정복이 앞서 19장에서 암몬왕 나하스의 조문을 보낸 조문단을 수치스럽게 취급한 것에 대한 형벌이라는 사실입니다. 당연히 다른 나라와 같이 정복당해야 할 대상이었지만 은혜를 베풀어 기회를 준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거부한 것이고 힘으로 대응한 결과가 어떠한지를 보여 주는 것입니다. 자신을 믿고 세상을 의지하는 자들의 최후를 다윗 왕조를 통하여 보여 주는 것입니다.


그들이 의지했던 밀곰의 왕관이 한 달란트(약 34 kg)라고 합니다. 얼마나 부질없고 허무한 모습인지를 보여 줍니다. 귀한 것을 크게 하는 것으로 자기 위안을 삼고 힘을 의지하는 세상의 대표적인 모습입니다. 이러한 세상 속에서 신자들의 기준은 어디에 있는지 깊이 살펴야 할 것입니다. 힘의 논리를 따라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힘을 얻기 위해 열심을 다하는 것은 아닌지 말입니다.


4절부터는 블레셋과의 세 차례에 걸친 전쟁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다 일반적이지 않은 거인들과의 싸움에서 이겼다는 보고입니다. 삼하 21장에서는 블레셋의 공격으로 다윗이 위험한 처지에서 살아난 것으로 나옵니다. 이들 역시 하나님 나라를 위협하는 존재로 있다는 사실을 보여 줍니다. 당연히 다윗 왕국에 의해 정복되어야 할 존재들인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의 정복은 세상의 방법이나 술수가 아닌 다윗의 사람들에 의해 정복당한다는 사실입니다. 다윗의 손과 신하의 손(8절)은 평범한 이스라엘의 힘임을 말합니다. 즉 하나님 나라의 백성들이 이들을 물리치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자들,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는 나라의 백성들에 의해 승리가 주어지는 것입니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이들이 하나님의 힘을 빌어 보란듯이 감당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하나님의 계획과 뜻만이 성취되는 나라라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입니다.


아무리 물리적으로 대항할 수 없는 존재라 하더라도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데에는 장애물이 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믿음과 기준은 신자들이 이 세상을 살면서 하나님만을 의지할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내가 살아가는 삶이 아닌, 나의 능력과 재주로 살아가는 삶이 아닌, 오직 하나님의 살아계신 말씀과 그 성취가 드러나는 삶을 사는 자들입니다. 믿음과 약속을 가진 자들은 순종만 있을 따름입니다.



조회수 1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