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느헤미야 3장



[말씀읽기]


1 <예루살렘 성벽 재건> 대제사장 엘리아십이 동료 제사장들과 함께 나서서, 양 문을 만들어 하나님께 바치고, 문짝을 제자리에 달았으며, 함메아 망대와 하나넬 망대까지 성벽을 쌓아서 봉헌하였다.

2 그 다음은 여리고 사람들이 쌓았고, 또 다음은 이므리의 아들인 삭굴이 쌓았다.

3 물고기 문은 하스나아의 자손이 세웠다. 문틀을 얹고 문짝을 달고, 빗장과 빗장둔테를 만들어 달았다.

4 그 다음은 학고스의 손자요 우리아의 아들인 므레못이 보수하였고, 그 다음은 므세사벨의 손자요 베레가의 아들인 므술람이 보수하였으며, 그 다음은 바아나의 아들인 사독이 보수하였다.

5 그 다음은 드고아 사람이 보수하였는데, 그들 집안의 어떤 유력자들은 공사 책임자들에게 협조하지 않았다.


6 옛 문은 바세아의 아들인 요아다와 브소드야의 아들인 므술람이 보수하였다. 문들을 얹고 문짝을 달고, 빗장과 빗장둔테를 만들어 달았다.

7 그 다음은 기브온 사람 믈라댜와 메로놋 사람 야돈이 유프라테스 서쪽 지방의 총독 아래에 있는 기브온 사람들과 미스바 사람들을 데리고 보수하였다.

8 그 다음은 세공장이 할해야의 아들 웃시엘이 보수하였다. 그 다음은 향품 제조업자 하나냐가 보수하였다. 그들은 넓은 벽에 이르기까지 예루살렘을 복구하였다.

9 그 다음은 예루살렘의 반쪽 구역의 책임자이며 후르의 아들인 르바야가 보수하였다.

10 그 다음은 하루맙의 아들인 여디야가 보수하였는데, 그 곳은 바로 자기 집 맞은쪽이었다. 그 다음은 하삽느야의 아들 핫두스가 보수하였다.


11 하림의 아들인 말기야와 바핫모압의 아들인 핫숩은 풀무 망대까지 합쳐서, 둘째 부분을 보수하였다.

12 그 다음은 예루살렘의 반쪽 구역의 책임자이며 할로헤스의 아들인 살룸이 자기 딸들과 함께 보수하였다.

13 골짜기 문은 하눈과 사노아에 사는 사람들이 보수하였다. 문틀을 얹고 문짝을 달고, 빗장과 빗장둔테를 만들어 달았다. 그들은 또한 거름 문까지 성벽 천 자를 보수하였다.

14 거름 문은 벳학게렘 구역의 책임자이며 레갑의 아들인 말기야가 보수하였다. 문틀을 얹고 문짝을 달고, 빗장과 빗장둔테를 만들어 달았다.

15 샘 문은 미스바 구역의 책임자이며, 골호세의 아들인 살룬이 보수하였다. 문틀을 얹고, 지붕을 덮은 다음에, 문짝을 달고, 빗장과 빗장둔테를 만들어 달았다. 그가 왕의 동산 옆 a)셀라 연못 가의 성벽을 다윗 성에서 내려오는 층계까지 보수하였다. (a. 실로나, 곧 실로암)


16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 곧 다윗의 묘지 맞은쪽에서부터 인공 연못과 용사의 집까지는 벳술 반쪽 구역의 책임자이며, 아스북의 아들인 느헤미야가 보수하였다.

17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은, 레위 사람 바니의 아들 르훔이 보수하였다. 또 그 다음은 그일라의 반쪽 구역의 책임자인 하사뱌가 자기 구역을 맡아서 보수하였다.

18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은, 그일라의 다른 반쪽 구역의 책임자이며 헤나닷의 아들인 바왜가 친족들과 함께 보수하였다.

19 그 옆으로 이어지는 둘째 부분, 곧 비탈 맞은쪽에서부터 성 굽이에 있는 무기 창고까지는 미스바 구역의 책임자이며 예수아의 아들인 에셀이 보수하였다.

20 그 다음에 이어지는 둘째 부분, 곧 성 굽이에서부터 대제사장 엘리아십의 집 문까지는, 삽배의 아들 바룩이 열심히 보수하였다.


21 그 다음에 이어지는 둘째 부분, 곧 엘리아십의 집 맨 끝까지는 학고스의 손자이며, 우리아의 아들인 므레못이 보수하였다.

22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은, 그 구역 안에 사는 제사장들이 보수하였다.

23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은, 베냐민과 핫숩이 보수하였는데, 그 곳은 그들의 집 맞은쪽이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은, 아나냐의 손자요 마아세야의 아들인 아사랴가 보수하였는데, 그 곳은 그의 집 옆쪽이다.

24 그 다음에 이어지는 둘째 부분, 곧 아사랴의 집에서 성 굽이를 지나 성 모퉁이까지는 헤나닷의 아들인 빈누이가 보수하였다.

25 우새의 아들 발랄은, 성 굽이 맞은쪽과 윗대궐에서 쑥 내민 망대 맞은쪽, 곧 시위청에서 가까운 부분을 보수하였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은, 바로스의 아들인 브다야와


26 오벨에 살고 있는 성전 막일꾼들이, 동쪽 수문 맞은쪽, 쑥 내민 망대가 있는 곳까지 보수하였다.

27 그 다음에 이어지는 둘째 부분, 곧 쑥 내민 큰 망대에서 오벨 성벽까지는, 드고아 사람들이 보수하였다.

28 말 문 위로는 제사장들이 각각 자기 집 맞은쪽을 보수하였다.

29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은, 임멜의 아들인 사독이 보수하였는데, 자기 집 맞은쪽이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은, 동문 문지기인 스가냐의 아들인 스마야가 보수하였다.

30 그 다음에 이어지는 둘째 부분은, 셀레마의 아들인 하나냐와 살랍의 여섯째 아들인 하눈이 보수하였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은, 베레갸의 아들인 므술람이 보수하였는데, 그 곳은 자기 방 맞은쪽이다.


31 그 다음에 이어지는 부분, 곧 점호 문 맞은쪽, 성전 막일꾼들과 상인들의 숙소가 있는 데까지, 그리고 성 모퉁이 누각까지는, 세공장이 말기야가 보수하였다.

32 성 모퉁이 누각에서 양 문까지는, 세공장이와 상인들이 보수하였다.



[말씀묵상]


예루살렘 성벽이 재건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각자의 맡은 부분들을 소개하고 있고 어떤 사람들이 이 성벽 건축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보여 줍니다. 중요한 사실은 비록 자신들이 살 성읍의 벽을 쌓는 것이지만 이 건축이 단순한 건축이 아닌 하나님의 집을 세우는 것으로 이해했다는 사실입니다.


약속의 땅으로 1차 귀환한 백성들은 성전을 먼저 짓게 됩니다. 이 성전 건축은 이들에게 있어서 의심의 여지 없이 가장 먼저 지어야 할 건물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들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분명하게 바로 세워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60년 정도가 지나 에스라에 의해 2차 귀환이 이루어지고 영적인 갱신을 하게 됩니다. 성전이 지어졌다고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모습을 갖춘 것이 아니기에 말씀으로 새롭게 삶을 세워야 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십 수 년이 흐르게 됩니다.


귀환한 사람들의 거처가 형편없다는 소식을 듣고 느헤미야에 의해 성벽 건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느헤미야의 예루살렘 성벽 건축을 향한 마음과 준비가 개인적인 열정과 능력으로 된 것이 아닌 하나님의 온전하신 역사와 약속의 성취임을 보여 줍니다. 따라서 3:1절에서 언급한 대제사장과 제사장들의 건축하여 성별하는 모습은 예루살렘 성이 바로 하나님의 집으로 세워짐을 드러내는 것입니다.


이 성벽 보수에 동원되는 사람들을 보면 특별히 제외되거나 구별되는 사람들이 없습니다. 모두가 다 동원되고 있다는 말입니다. 하나님의 집 건축에 차별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제사장으로부터 시작되어 이 성에 살지 않는 자들(2,5,7절), 다양한 직업이나 계층의 사람들(8,9,14,17,31절), 심지어 여자들(12절)까지도 동원되었습니다. 물론 동참하지 않는 부류(5절)도 있지만 극소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바로 하나님의 집을 건축하는 다양한 구성원들을 보여 주는 내용입니다.


이러한 모습은 바로 예루살렘 성 건축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것은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향한 모습이라는 사실입니다. 거룩한 성은 하나님의 사시는 성, 하나님의 다스림을 의미하는 성을 말합니다. 이 성은 계시록에서 어린 양의 신부로 완성됩니다.


계21:1~2

1 또 내가 새 하늘과 새 땅을 보니 처음 하늘과 처음 땅이 없어졌고 바다도 다시 있지 않더라 2 또 내가 보매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이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니 그 준비한 것이 신부가 남편을 위하여 단장한 것 같더라


다시 말해서 예루살렘은 바로 신부된 성도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루살렘 성 건축을 통하여 신부들의 하나됨, 성전을 중심으로 아름답게 만들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계21:21절을 보면 성안에 성전이 없다고 합니다. 하나님과 어린양이 친히 성전이시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금 느헤미야와 함께 포로로부터 돌아와 무너진 예루살렘 성을 세우고 있는 모습은 이렇게 죽임당한 어린양의 피로 구속된 자들이 신부로 준비되는 모습을 그리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지금의 성도들 역시 같은 자리에 있습니다. 신부로서 세워져가는 자들입니다. 이미 완성된 신부를 기대하고 소망하면서 말입니다. 물론 시간이라는 과정이 있기에 세워져 가고 준비되고 있다는 표현을 쓰는 것이지 이미 신부로서 완성된 자임을 확인하며 고백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어린양의 구속과 은혜를 기억하며 주신 사명 감당하시기 바랍니다.



조회수 2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